'Information'에 해당되는 글 162건

  1. 2009.02.04 Hyundai Super Bowl Advertisement 4 by Dansoonie
  2. 2009.02.03 Building curl 17.19.3 with OpenSSL and zlib on MSVC 2 by Dansoonie
  3. 2009.02.02 Building openSSL 0.9.8j on Windows 2 by Dansoonie
  4. 2009.01.13 Working with WebCore in Webkit... 4 by Dansoonie
  5. 2009.01.09 난 이 결혼 반댈세 !!! 9 by Dansoonie
  6. 2008.12.31 Kollaboration 9... 2 by Dansoonie
  7. 2008.12.30 Comparing Web Browsers... Searching for the Best... 6 by Dansoonie
  8. 2008.12.18 블로그 가치 계산해주는 사이트에 대해서... 2 by Dansoonie
  9. 2008.12.11 이윤수는 누구인가??? 12 by Dansoonie
  10. 2008.12.07 [Info] Smart Web Surfing... part 2 (Google cached web pages) 2 by Dansoonie
슈퍼볼에서 한국인의 피를 이어받은 하인즈 워드 선수가 활약하고 있는 피츠버그 스틸러스가 우승했다... 아, 그렇구나 하고 말았는데, 사실 나는 중요한것을 잊고 있었다... 슈퍼볼 중간중간에 나오는 광고들이 어땠는지 확인해 보는것...

오늘 네이버에 뜬 뉴스 기사들을 읽다가 "현대차 광고에 BMW 보스 열받다?"라는 제목을 접하게 되었고, and I took it so seriously... 근데 알고 보니 슈퍼볼때 했던 현대 자동차의 광고의 내용에 대한 것이었다... 그래서 떠오른것이 슈퍼볼에서 나온 광고 리뷰해야 겠다는것... 그건 나중에 하기로 하고, 슈퍼볼때 나간 현대 자동차의 광고가 기사에 embedded되어 있었는데, 그 감상문 부터 쓰기로 하겠다...

드디어 광고를 제대로 만들기 시작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작년까지만해도 제네시스를 출시하면서 현대 차는 싸다는 이미지를 내세우기 바빴다... 내용은 
 
Ah yes.. The Genesis... A Brand new luxury car as spacious as the Mercedes S class get priced like a C class, making its debut during the big game. Yeah, right about now, you're probably expecting some crazy big twist or something... well here it is... Hyundai...
그 밖에도...
More spacious than a BMW 7-Series, Priced like a 3-Series
라는 카피를 사용했다... Luxury Brand Image를 구축한다더니... 쌩뚱맞게 저게 뭐야??? 했었는데... 현대가 제네시스로 2008년에 나름 선방했나보다...

이것이 이번 슈퍼볼때 나간 현대 자동차 광고다...



첫번째 광고의 이 대목...
Win one little award and suddenly everyone gets your name right. Hyundai, just like Sunday...
네번째 광고의 이대목...
Right about this time a year ago,the  Hyundai Genesis made its debut. Along with the rather assertive suggestion that Mercedes, BMW, and Lexus would somehow be less than enthused about its arrival. Well it turns out the Genesis was just named 2009 North American Car of the year...
마음에 든다...

또한 항상 해외에서만 고객감동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대의 면모를 발휘하기도 했다... Hyundai Assurance라는 것을 만들어서. 차를 사거나 lease를 한 후 1년 내에 실직을 하게 되면 환불을 해준다는 것이다. 물론 계약서를 보면 뭔가 까다로운 조건도 있고, 전액 환불은 아닐것이 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표면적인 조건이라도 있으면 나도 좀 부담을 덜고 차를 구입할 수 있을것 같다...

Hyundai Assurance 역시 파격적인 조건을 내세움으로써 현대가 싸구려티를 아직 못벗어났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그런 생각이 약간 달라지지 않을까 싶다. 최소한 나는 그랬다... 어쨌든, 이번에 제네시스 쿠페를 출시를 위한 슈퍼볼 광고는 매우 훌륭했다고 평가한다...

이 글을 마무리 하면서 미국에서 현대차 판매가 1월달에 급증했다는 기사를 봤는데... 역시 불황에 싼가격이 빛을 보나보다... 더군다나 앞으로 1년 안에 실직하면 환불해준다는 서비스가 광고 되었으니 더 급증할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흠... 시기 적절한 마케팅이었다고 본다... 다만 그것을 감당 할 수 있느냐가 문제일 것이다...

Posted by Dansoonie
I needed the ssl features in the curl library. The latest version of curl package with ssl for windows being distributed is 7.15.0. I could have used that version, but my coworkers and I insisted on using the most recent version. So, I had to build curl for myself. Here is how I did it.

How I Built Curl 17.19.3 with OpenSSL and zlib
on Visual C++ 2005 Express
* Download the Compressed Project file to skip everything and simply extract and build.

* For building zlib on Windows with MSVC is straightforward download zlib source from http://www.zlib.net/. Extract files to a certain folder. Open (zlib source folder)\projects\visualc6\zlib.dsw and build.
* For building OpenSSL on Windows with MSVC, refer to previous post.


1. Download and Extraction
Download the curl source files from http://curl.haxx.se/download.html.
Extract the files to a certain folder. I used D:\work\curl-7.19.3


2. Add libraries
Create the following folders in the curl folder
libraries\include\zlib
libraries\include\openssl
Copy zlib.h and zconf.h to (curl source folder)\libraries\include\zlib
Copy (openssl source folder)\include\openssl\*.h to (curl source folder)\libraries\include\zlib

Create the following folders in the curl folder
libraries\lib
Copy libeay32.lib, ssleay32.lib from the OpenSSL build result, and zlib1.lib from the zlib build result to (curl source folder)\libraries\lib


3. Open solution
Among the extracted files, there should be vc6curl.dsw. Visual C++ 2005 Express will complain that the file is no longer supported. Let it update the file to the solution file with the sln file extension and stuff...


4. Change Project Settings
Right click on curllib project and select properties to change curllib's project settings.
Select the appropriate Project Configuration that you are willing to make changes to.
(Probably you would like to change both DLL-Debug and DLL-Release)

Add the following to Configuration Properties -> C/C++ -> General -> Additional Include Directories:
..\libraries\include
..\libraries\include\zlib

Add the following to Configuration Properties -> C/C++ -> Preprocessor -> Preprocessor Definitions:
USE_OPENSSL
USE_SSLEAY
HAVE_ZLIB_H

Add the following to Configuration Properties -> Linker -> General -> Additional Library Directories:
..\libraries\lib

Add the following to Configuration Properties -> Linker -> Input -> Additional Dependencies:
zlib1.lib
libeay32.lib
ssleay32.lib


5. Build Solution
Try Ctrl + Alt + F7 and see what happens.





Posted by Dansoonie
** This post is based on http://crowback.tistory.com/entry/openssl-098i-버전-윈도우-환경하에서-컴파일하기 and INSTALL.W32 (plain text file that comes with the openSSL source)

I had to build openSSL on Windows platform at work. Since it's not something that will work simply as opening a solution file on visual studio and building it, I'm keeping a record on how I did it. Not that this is something really difficult, I hope this information can become handy for the ones who really need it.

The requirements...
- cl (Microsoft c/c++ compiler)
- ml (MASM - Microsoft macro assember)
- perl

My build evironment...
- cl: Visual C++ 2005 express (can download here)
- ml: Microsoft macro assember 8 (can download MASM here)
- perl: v5.10.0 built for cygwin-thread-multi-64int (can download cygwin here)
* Prior to building openSSL, check if cl and ml can be executed from command prompt by simply typing 'cl' and 'ml'. If cl and ml is properly executed, you can see the version and usage of cl or ml you are executing. If it seems like cl and ml is not being executed properly, refer to the following by extending "더보기".

1. Downloading Source Files and Extracting it
Download  Openssl-0.9.8j.tar.gz from http://www.openssl.org/source/ and extract it to a dedicated folder. In my case D:\Work\openssl-0.9.8j.
(tar.gz files open beautifully with 7-zip, which is a freeware that supports unpacking almost every compression format widely used these days)


2. Configure
Execute "Configure" perl script by typing the following in the command prompt, where the prefix argument specifies where openSSL will be installed. In my case c:\openssl.
> perl Configure VC-WIN32 --prefix=c:\openssl


3. Add Assembly Functions
Add assembly functions (really don't know what it means at the moment) by typing the following from the command prompt.
> ms\do_masm


4. Make the following modifications to files
4-1. in crypto\cversion.c line 105
return "OPENSSLDIR: \"" OPENSSLDIR "\"";

return "OPENSSLDIR: \" OPENSSLDIR \"";

4-2. in crypto\cryptlib.c line 84~86
#define X509_CERT_DIR  OPENSSLDIR "/certs"
#define X509_CERT_FILE  OPENSSLDIR "/cert.pem"
#define X509_PRIVATE_DIR OPENSSLDIR "/private"

#define X509_CERT_DIR  OPENSSLDIR "\\certs"
#define X509_CERT_FILE  OPENSSLDIR "\\cert.pem"
#define X509_PRIVATE_DIR OPENSSLDIR "\\private"

4-3. in crypto\opensslconf.h line 107~108
(the dir path may differ depending on the argument used for prefix when configuring)
#define ENGINESDIR "c:\openssl/lib/engines"
#define OPENSSLDIR "c:\openssl/ssl"

#define ENGINESDIR "c:\\openssl\\lib\\engines"
#define OPENSSLDIR "c:\\openssl\\ssl"


5. Build, Test, Install
> nmake -f ms\ntdll.mak <- to build
> nmake -f ms\ntdll.mak test <- to test if build was successful
> nmake -f ms\ntdll.mak install <- to install openSSL






Posted by Dansoonie
Are you trying to add some new functionality to WebKit? To be more specific, to WebCore? Moreover, are you adding new files to the project to do your work?

If this is what you are doing, and you are having some problems using the new and delete operator and building under debug mode(in visual studio), you might find your answer to your question here.

So the problem is...(at least my problem was)
The project does not build under debug mode because of compile errors related to the new and delete operator.

If you are keep getting compile error messages like the following on the lines using the new or delete operator...

error C2064: term does not evaluate to a function taking 0 arguments

try including "config.h" in the very first line of the file. i.e. #include "config.h"

So, how did this solution come about??? The project is set to use precompiled headers when Building under debug mode in Visual Studio. The precompiled header file name is set to be WebCorePrefix.h. In WebCorePrefix.h you can see something like this...

#ifdef __cplusplus

#define new ("if you use new/delete make sure to include config.h at the top of the file"())

#define delete ("if you use new/delete make sure to include config.h at the top of the file"())

#endif

Honestly, I'm not sure what those lines mean... I mean, the words inside the parenthesis are definitely not comments... I'm not a real hard core programmer and I'm not used to using preprocessors intensively. However, those two lines gave me the clue... I just followed the instructions...

I added #include "config.h" to the files that I just added which has the new and delete operators and problem solved !!!

Thank God... I'm able to code again... this problem has been keeping me crazy for the past week...



Posted by Dansoonie
우리 결혼했어요에서 태연과 정형돈 커플이 탄생하여 가상 결혼생활을 시작하게 된다고 한다...


그것에 대한 내 입장은...

나 말고도 반대하는 사람 엄청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내가 방송국 국장도 아니고, 내가 반대한다고 뭐 될일이 아니다... 정형돈 평소에 좀 좋아했는데, 이 일을 계기로 잠시 안티의 길을 걷기로 했다... 태연이 한테 잘해줘도 안티가 되어야 겠고, 못되게 대해도 안티가 되어야할 이 상황... 친한 여자 동생에게 이 나이에 이런 상황에 가슴아파해야 하는 내 심리 상태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냐고 물어봤더니... 그저 외로워서 그런거라고 하더군...

음.. 그런가??? 어쨌든, 정형돈은 우리 탱구에게 사유리에게 했던것 처럼 했다가는 나는 진정한 정형돈 안티로 태어나게 될 것이다. 잘해주면 뭐... 그냥 정형돈은 팬 하나 잃는 꼴???

정형돈 78년 생으로 89년 생인 탱구와는 거의 띠동갑 수준인데... 어쨌든...

난 이 결혼 반댈세...

Posted by Dansoonie
What is kollaboration???
아시아/태평양/캐나다인의 예술인 연합이라고나 할까? 그들의 연예계 진출을 promote하는 비영리 단체라고 한다... 자세한 설명은 여기에...

So What about it?
이 단체에서 매년 콘서트를 하나본데, 내년(2009년) 2월에 콘서트를 하나보다... So, again... what about it??? YouTube를 통해서 알게되고 좋아하게된 David Choi와 Kina Grannis가 참여하게 된다...


Here is the promotion trailer for the concert...


문화생활도 하고 싶은데...         
저거나 보러 가고 싶은데 !!!      



아무래도 아직까지도 미국에서 소수민족의 연예계 진출은 힘든가보다... 실력과 능력이 있다고 해도, 사실 든든한 후원자가 없고 그런 길로 이끌어주는 사람이 없고 기회가 없으면 연예계 진출이 쉽지만은 않겠지??? 인종 차별 문제를 떠나서, 일단 미국 사회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백인과 흑인들이 가지고 있는 동양인에 대한 stereo type 때문에 그들의 연예계 진출이 쉽지만은 않은것 같다... stereo type도 꼭 나쁘게 가지고 있어서가 아니라, 그냥 문화적인 차이라고나 할까??? 어쨌든, 그런 보이지 않는 벽(유리벽 이라고도 하지... 흠흠흠) 때문에 생긴 단체 같은데 매우 생산적이고 건설적인 단체같다. 그들을 통해서 좀더 다양한 음악을 접하고 좋은 음악을 접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들이 아직 연예계에서 전문으로 활동해서 먹고 사는 연예인이 아니기 때문에 아마추어라고 분류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실력이나 정신은 프로답다... 다른 사람은 몰라도 David ChoiKina Grannis의 음악은 꼭 감상해보기 바란다... 그리고 추가로 David Choi와 Kina Grannis가 같이 작업한 음악 동영상도 감상해보시길...

Posted by Dansoonie
서론

인터넷을 어느때 보다 많이 사용하는 요즘 웹브라우져를 쓰지 않고서는 생활이 거의 불가능하다... 인터넷 없이도 살 수 있다는 사람도 많을지도 모르겠으나, 나에게 인터넷은 없어서는 안될 하나의 생활 수단이다...

그건 그렇고... 한때는 웹브라우져라고 해봤자 몇개 존재 하지 않아서 우리에게는 선택의 폭이 좁았고, 워낙 인터넷 기술이 원시적이어서 다 거기서 거기였다. 그때는 단지 사용자에게 편리한 기능이 얼마나 제공되느냐에 따라서 "짱"이 정해졌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OS인 Windows에 최적화된 MSIE(Microsoft Internet Explorer)가 가장 사랑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요즘은 양상이 약간 다르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저 어디든지 다 깔려있기 때문에 MSIE를 많이 사용하지만, MSIE에서 다른 웹브라우져로 갈아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것 같다...

만약 당신도 MSIE에서 다른 웹브라우져로 갈아타려고 하는데 마땅히 어떤 웹브라우져가 좋은지 모르겠다면 이 글을 통해 앞으로 사용하게될 웹브라우져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조금이라도 insight를 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나는 웹브라우져 개발에 참여하게 되면서 더욱 많은 브라우져를 접하게 되었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나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각 브라우져들을 비교해보겠다...



각 웹브라우져 특징및 장단점

- Internet Explorer (Microsoft)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웹브라우져. 웹브라우져 자체의 우월성 보다는 가장 많이 깔려있는 웹브라우져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가장 많이 사용되기 시작한 웹브라우져가 아닌가 싶다. ActiveX라는 기술의 지원으로 인터넷의 혁명을 가지고 왔다고 할 수도 있고, 인터넷 기술을 아주 조잡하게 또는 위험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도 있다...
독자적인 웹기술의 개발과 지원으로, 한때는 정말 최고의 웹브라우져라고도 생각했는데, 지금은 웹표준 기술을 흐려놓은 악동이라고 불러주고 싶다... 이렇게 된 배경에는 여러가지 반독점을 주장하는 세력들의 움직임이 있었고, 결국에는 그것이 옳은 방향이었다고 본다. 그렇다고 마이크로소프트 측의 독자적인 웹기술 개발에는 악의만 있었다고 할 수는 없다... 그것이 비즈니스가 돌아가는 원리이고, 그것으로 인해 웹기술 개발 초기 단계에는 인터넷 산업의 호황을 이끌기도 했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지금 웹기술이 성숙기에 들어서고 있고, 표준들이 워낙 잘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런 독자적인 기술은 없어져야 한다고 본다... 그러니까 MSIE에 대한 내 입장은, MSIE가 지속적으로 그동안 지원했던 많은 MS만의 기능들을 지원함으로써 웹 기술은 조잡하게 남아있을 수 밖에 없는데, 그런 측면에서는 나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좀 웹 표준을 따라주던지 MSIE가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1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는 없어서는 안되는 웹브라우져다. 왜냐하면 인터넷 뱅킹을 하기 위해 ActiveX가 지원되어야 하고, 우리나라 대부분의 웹사이트들은 대부분 MSIE에 최적화 되어있기 때문이다. 나는 우리나라의 은행 업무를 볼때, 인터넷 쇼핑몰로 쇼핑할때, 영화 상영시간표 알아보고 예매할때, 그리고 싸이월드 사용할때만 주로 MSIE를 사용한다.


- Firefox (mozilla foundation)
Mozilla Foundation에서 개발된 오픈소스 웹브라우져로 내가 평가할때는 MSIE에서만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 빼고는 이 웹브라우져가 "b-.-d" 이다... 웹표준 비표준 이것저것 다 어느정도 잘 지원해줘서 거의 대부분의 웹페이지를 잘 표시해준다. 게다가 SVG에 대한 지원도 native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SVG도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볼 수 있다. 하지만 SVG 지원은 아직은 미약한 상태. 게다가 다양한 사용자 편의 기능을 지원하고,extensions이라는 것을 사용해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처음 나왔을대는 속도도 매우 빠르고 가벼웠으나 이제는 덩치가 많이 커져서 좀 버벅대는 경향도 어느정도 있다. 그래서 그런지 Firefox를 띄워놓고 다른 프로그램을 한참 사용하다가 다시 Firefox를 foreground로 올려놓으면(Windows의 focus를 firefox로 회복시키면) 페이지 로딩시간이 좀 오래 걸리는데, 예전에는 안그랬던것 같은데... 컴퓨터가 이상해져서 그런지...
어쨌든, 지속적으로 사용할때는 MSIE보다 웹페이지 로딩도 빠르고, 자바 스크립트 엔진도 비교적 빠른편에 속한다니 여러가지 측면에서 볼때 내가 평가한 최고의 웹브라우져다...


- Safari (Apple)
Webkit 기반으로 만든 아마 최초의 상용 웹브라우져인것 같다. 비교적 괜찮은 웹브라우져임에도 불구하고, 맥사용자들이 아니면 잘 사용하지 않고, 윈도우즈에서의 Apple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맥에서 돌아갈 때보다 잘 안돌아가는 편이므로 여기서 그만...
Safari에서 역시 native로 SVG를 지원한다. 하지만 아주 한정적인 기능만 지원하는것 같다...- 2008년 12월 31일 추가

- Chrome (google)
Google에서 온갖 웹서비스들을 시작하면서 웹표준을 잘 따르는 웹브라우져를 주창하면서 출시한 웹브라우져. WebKit 기반으로 만든 또 하나의 웹브라우져. 프로세스 자체가 가볍냐 무겁냐에 대한 논쟁이 좀 있지만, 그것은 아마도 다른 웹브라우져와는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프로세스를 돌리기 때문에 그런것 같다. 그러니까 Chrome은 탭 하나하나가 하나의 프로세스로 돌리는데,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탭하나가 죽는다고 하여도 브라우져 전체를 닫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탭 하나하나가 프로세스로 돌아가기 때문에 탭 하나하나는 가볍게 돌아갈 수 있다. 그런면에서 Chrome은 가볍게 돌아가지만, Chrome의 메인 프로세스와 그에 딸린 탭들의 프로세스를 모두 합한다면 그다지 가볍다고 표현하기는 힘든것 같기도 하고...
속도에 대한 평가를 내리자면... Google은 Chrome 출시 초에 유럽의 어떤 나라(덴마크)의 가상머신만 전문으로 만드는 작은 회사를 Team(친구 말에 의하면 구글 지사라고 함- 2008년 12월 31일 추가) 통해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V8이라는 자바 스크립트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를 사용했는데, 이 V8이라는 것이 자바스크립트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의 속도 전쟁을 부추기기 시작했다고 생각한다. 지금은 Chrome도 Squirrel Fish라는 자바스크립트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를 사용한다.(Squirrel Fish는 WebKit에만 적용된 바이트코드 인터프리터라고 한다 - 2008년 12월 31일 추가). Firefox의 초기 자바스크립트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인 Spider Monkey를 개선한 Trace Monkey가 조금 더 빠르다고 하지만 벤치 마크를 보면 아주 미묘한 차이이므로, 자바스크립트 바이트 인터프리터에서는 무승부라고 하고, 전반적으로 웹브라우져 자체의 로딩 시간이나 페이지 로딩 시간이 아무래도 Firefox보다는 약간 빠르다는 느낌이 들어서 간편한 검색을 할 경우에는 주로 Chrome을 사용한다.
또한 첫 페이지는 자주가는 페이지들을 스냅샷으로 9개를 보여주고 그 스냅샷을 클릭함으로써 갈 수 있는데, 생각보다 매우 편리한 기능이다. 이 기능은 Opera라는 웹브라우져의 스피드 다이얼이라는 기능을 베껴온듯 하다...
Chrome에서 역시 native로 SVG를 지원한다. 하지만 아주 한정적인 기능만 지원하는것 같다...- 2008년 12월 31일 추가

※ V8, Squirrel Fish는 자바스크립트 바이트 코드 인터프리터이고, Spider Monkey, Trace Monkey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라는데, 바이트코드 인터프리터와 엔진의 명확한 구분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모르겠다... 이건 나중에... 어쨌든, 벤치마킹할때 모두 똑같은 것으로 대하므로... 일단 위의 내용은 그냥 받아들여 주세요...


- Opera (Opera Software)
아주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이 웹브라우져... 요즘에 임베디드 모바일 디바이스 시장을 마케팅하고 있는듯 하다... 아마도 스마트 폰이나 MID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 안에 Opera라는 웹브라우져가 설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클 것이다. 그건 그렇고... 지금은 PC용 웹브라우져만 논하고 있으므로, PC용 웹브라우져 Opera에 대해서 얘기를 하자면...
Chrome을 설명하면서 언급했듯이 스피드 다이얼이라는 기능이 있다. 즐겨찾기 중에서도 진짜 즐겨찾는 웹페이지들을 9개를 선정해서 시작 페이지에서 그 9개의 웹사이트의 스냅샷을 보여준다. 다시 말하지만 진짜 별것 아닌것 같은 기능이지만 매우 편리하다. 북마크 해놓은거 북마크 모아놓은 탭 열어서 클릭하기 매우 귀찮은건 사실이지 않은가???
Opera의 또하나의 장점이라면 현존 웹브라우져 중에서는 SVG의 기능을 가장 폭넓게 지원한다는 것이다. SVG라는 기술이 지금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술도 아니고, 앞으로 많이 사용될 기술인지는 미지수이지만, SVG라는 기술이 XML로 그림(애니메이션)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표준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기술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SVG를 가장 잘 지원한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면, 한글 입력이 개떡같다는... 원치 않는 시점에서 띄어쓰기가 이루어지는데, 이점이 가장 불편하여 Chrome을 쓰다가 Opera를 잠시 썼는데, 다시 firefox로 돌아온 이유다...


- 내가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웹브라우져...
당연히 최고다 !!! <-이건 구라다... 출시하지도 않았다...
출시하지도 않았고, 향방이 미지수이기 때문에 생략...




결론
  • 나는 주로 firefox를 사용하고,
  • 인터넷 뱅킹, 인터넷 쇼핑, 싸이월드할때만 MSIE를 사용하고,
  • Chrome은 간단한 검색을 할 때 사용하고,
  • Opera는 가끔 SVG 기술 동향이라던가 그런거 점검해 볼대 심심할때 사용하고
  • 내가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웹브라우져는 디버깅할때 사용한다...
절대적인 Best는 없다...  

참고로 Tistory에서 블로깅, 특히 글쓰기를 할 때에는 firefox가 제일 편하다...




Posted by Dansoonie
예전에 블로그의 가치를 계산해 주는 사이트에 대해서 쓴 적이 있다...
그것도 두번씩이나... 이글이글...

이 사이트에 대해서 내가 쓴 정보에 잘못된 사실도 있고, 오늘 새롭게 알아낸 사실이 있어서 그것에 대해서 쓰고자 한다...

1. 내가 예전에 사이트에 대해서 쓴 첫 포스트에서 이 사이트에 가서 어떤 블로그의 주소를 입력하면 그 블로그의 가치와 함께 그 가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해주는 HTML 코드를 제공해 준다고 썼었다. 그런데 알고보니 아니었다...

예를 들어 내 블로그 주소를 입력받고 생성된 HTML 코드는 다음과 같다...

<div style="border: 1px solid #cccccc; background-color: white; width: 115px; text-align: center; padding: 0 0 10px 0;"><p style="margin: 0"><a href="http://www.business-opportunities.biz/"><img src="http://images.business-opportunities.biz/blogworth/gw.jpg" style="border:0;"></a><br/> <span style="font-size: 11px;">My <a href="http://dansoonie.tistory.com">blog</a> is worth <b>$564.54</b>.</span><br/><span style="font-size: 10px;"><a href="http://www.business-opportunities.biz/projects/how-much-is-your-blog-worth/">How much is your blog worth?</a></span></p><p><a href="http://www.technorati.com/" style="border: 0px;"><img src="http://technorati.com/pix/tech-logo-embed.gif" style="border: 0px;"></a></p></div>

이 코드에서 bold 처리된 부분을 살펴보면, <b>$564.54</b> 라고 그 금액이 hard coded 되어있다... 그러니까 저 금액을 임의로 바꿔서 내 블로그의 html 소스에 복사해서 붙이면 사기도 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실 의심이 되는 친구가 있다... 자신의 블로그의 가치가 $1,129.08이라고 말한 친구 말이다...
J/K   lol


2. 또 초기에는 내 블로그의 가치가 계속 $0.00로 나온다고 불평을 늘어놓았는데, 사실 브라우져의 특성을 탄다고나 할까? 라고 쓰려고 했지만, 다시 confirm을 하려고 했더니... 이 역시 아닌듯...

그러니까 아까 낮에 내 블로그의 가치가 마지막으로 계산 했을때랑 계속 똑같아서 이것저것 살펴보다가 위의 1번의 사실을 알아냈고, 다시 내 블로그의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그 사이트에 가서 내 블로그의 주소를 다시 입력했더니 다시 내 블로그의 가치가 $0.00 으로 나오는게 아닌가??? 그때 사용하던 브라우져가 Opera 였는데, MS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다시 해보니 $564.54로 나오는 것이었다... 그래서 브라우져에 따라서 계산이 제대로 되는 것이 있고, 안되는게 있나보다 했었는데... 이 포스트를 쓰면서 confirm해보려고 내가 사용하는 모든 브라우져(MS IE, Firefox, Chrome, Opera, Safari)로 다시 해보니 모두 내 블로그의 가치를 $564.54 로 표시해 주는 것이 아닌가???

아~ 알수 없는 인터넷의 세계...

Posted by Dansoonie
일단 내 이름은 이윤수 이고, 그래서 나를 아는 사람들은 나에 관한 글일 것이라 추측했을것이다... 하지만 아니다~ :-P

나와 동명이인인 사람들에 대한 글이다. 나랑 똑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들은 과연 어디서 무엇을 하면서 살고 있을까 궁금해서 시작된 프로젝트... 동명이인을 찾아라 !!!

옛날부터 심심하면 검색엔진을 통해서 내 자신의 이름을 검색 해보곤 했었는데, 인터넷의 정보의 양이 많아지다보니 검색 가능한 이윤수의 수도 많아지기에 재미있을것 같아 한번 정리해 보았다... 내 나름대로 인지도 순서대로 정리한 것이다...


1. "이윤수 조성완 비뇨기과 원장" 이윤수 선생님
우리나라에 인터넷이 막 보급되기 시작할 시절부터, 그러니까 나 고2때쯤 부터 유심히 지켜보던 분이시다. 그당시 때부터 이윤수를 검색하면 가장 먼저 그분의 비뇨기과 병원이 검색되었다. 우연히 알게된 분이시지만 간간히 신문이나 기사를 통해서 이름을 듣게 되었고(물론 내 이름이랑 똑같아 늘 듣지만) 비뇨기과계에서는 나름 독보적인 존재임을 알게 되었다. 이윤수를 검색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이 비뇨기과 전문 병원 원장이라는 것이 고등학교때 까지만해도 속상했지만, 왜그랬는지 잘 모르겠다...
사진출처: http://www.penilee.co.kr/hospital/hospital01.asp



2. "가수" 이윤수
행적을 추적해 보려했지만, 정보가 별로 없다... 이 분에 대한 네이버 인물 검색 정보에 의하면 1986년에 KBS 젊음의 행진으로 데뷔를 했다고 한다. maniadb.com에 있는 이분에 대한 정보에 의하면 무려 4집 앨범까지 발표한 가수다. 그러나 이 글을 읽는 당신이 모르는 것처럼 이분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의 가장 유명한 곡은 "먼지가 되어"라는 곡이다. 동명이인이라 나는 나름대로 애정을 가지고 노래를 들어보려 했지만, 잘 되지 않았다... 그래도 나름대로 메니아 층은 조금 있는듯 한것 같다...
0123

사진출처: http://www.maniadb.com/album.asp?a=123302



3. "피아니스트" 이윤수
이분에 대한 네이버 인물 검색 정보에 의하면 1978년생으로 독일 유학파 같음. 그룹 '앙상블 디토'의 멤버였다는데, 그 그룹도 처음들어본다... 대충 알아보니(역시 네이버 인물검색) 클래식 프로젝트 그룹인것 같음... 베토벤 바이러스에 출여했던 임동혁리처드 용재 오닐도 그 그룹 멤버라고함... 지금은 멤버가 아닌걸 보니 임동혁한테 밀렸나??? 그래도 나름 콩쿠르(인지도가 높은 콩쿠르인지는 잘 모르겠다)에서 입상도 한걸 보니, 나보다 피아노를 꽤나 잘 치나보다. 
ㅡ.ㅡa
2007년 앙상블 디토의 첫 공연과 관련된 사이트에서 가져온 사진인데... 그당시에는 아마 이윤수가 앙상블 디토의 멤버였나보다... 왼쪽에서 3번째가 피아니스트 이윤수임...
사진출처: http://www.visitseoul.net/visit2006/article/perform_view.jsp?seq=7628&strCH=&page=43


4. "국회의원" 이윤수

1938년 9월 16일생으로 전 새천년민주당 국회의원. "전 국회의원"이니 지금은 아니란 얘긴것 같다. 한때 국회에 몸담고 계실때는 가끔 뉴스에도 오르락 내리락 하셨던것 같은데 지금은 뭐하시는지 도통 모르겠다... 그래서 내가 판단한 인지도 순위에서 밀렸다... 네이버 인물 검색 정보를 하려고 하니 유료라길래 더이상 알아보지 않으려다가... 엠파스에서 검색해봤음... ㅡ.ㅡ;

사진출처: http://people.empas.com/people/info/le/ey/leeyoonsoo/




5. "배우/탤런" 이윤수


EPG라는 사이트에 있는 이 분에 대한 정보에 의하면 신장:168cm, 체중:47kg 의 신체조건(아직까지 그런지는 알 수 없지만)을 가진 여배우로... 어느 드라마에 출연했는지에 대한 공식적인 기록은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었다... 정보의 바다라는 이 시대에 보기 드문 현상이었다...  ㅡ.ㅡa

사진출처: http://epg.epg.co.kr/star/profile/index.asp?actor_id=6426





그 밖에, 무슨 경제기관단체 단장도 한분 계시고, 시인도 한분 계시고, 전 대기업 임원도 계시고, 사진작가, 산업디자이너도 계시고, 교수도 있다... 그밖에 빼먹은 많은 이윤수들에게 미안함을 표하며...

Posted by Dansoonie
보고 싶은 웹사이트가 있다... 그런데 웹서버가 죽었는지 페이지가 뜨지 않는다 !!!

예전에 Smart Web Surfing... The Web Time Machine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렸던 적이 있다. 내용은 보고자 하는 웹페이지가 뜨지 않을때 archive.org에서 제공하는 WayBackMachine이라는 서비스를 통해서 예전에 archive 해 놓은 웹페이지를 보는 방법을 소개한 것이었다...

그런데... 그런데... 속도가 매우 느리고, 재수가 없으면 자신이 보고자 한 웹페이지가 archive 되어있지 않았다면 볼 수 없다는 것이다...

WayBackMachine의 대안으로 Google 검색 엔진을 사용하자 !!!
원하는 것 또는 보고자 하는 웹페이지의 주소를 알면 그것을 검색해서 해당 검색 결과의 cached된 페이지를 보자...

방금 일을 하면서 libcurl API를 참고할 일이 생겼는데, 마침 libcurl 공식 페이지가 다운되어있는 것이었다... 처음에는 the WayBackMachine을 사용해서 보려고 했는데, 너무 느리고 알 수 없는 이유로 거기서도 페이지가 뜨지 않는 것이었다... 분명 archive된 링크가 있었는데도 말이다... 올해 4월에...

그래서 그냥 노가다로 대충 이것저것 해보면서 API에 대해서 내가 알고자 했던 정보를 알아내려 해보다가... 갑자기 머리속에 스친 google 검색 결과에서 각 검색 결과 끝에 나와있는 Cached라는 단어...

내가 찾고자 했던 정보는 libcurl에서 curl_easy_getinfo()라는 함수의 signiture 및 옵션들에 해당하는 정보였더... 그래서 google로 libcurl과 curl_easy_getinfo 두 단어로 검색해서 그 정보가 있는 페이지를 찾았고, 그 페이지의 cached된 정보를 보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고마워요 Google !!!
역시 인터넷의 세계에서는 형님이 쵝오에요~~~

WayBackMachine이 Google의 cached web page를 보는것 보다 좋은 점은 주기적으로 web page들을 Archive를 하기 때문에 어느 한순간의 웹페이지 말고도 각 기간에 따라 웹페이지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찾아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반면 느리다...

Google의 cached web page의 경우는 cache 작업을 얼마나 자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가장 최근에 cached된 버전의 web page를 비교적 빠르게 로딩해서 보여준다는 것이다.




Posted by Dansoon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