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밤에 자기 전에 Apple TV로 TED Tech Talk podcast 를 좀 봤습니다. 3~4편 보고 잤는데, 마지막으로 봤던 편이 매우 인상적이어서 여러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바로 Jane McGonigal이라는 게임 디자이너의 tech talk였습니다. 주제는 "Gaming can make a better world" 였습니다. 한번 감상해 보시죠... 



그냥 봐도 참 인상적인 주제이고, 설득력 있는 주장이지만 여성 가족부에서 게임 셧다운제를 들고 나온 이상 더 관심있게 볼 수 밖에 없었습니다.

Jane McGonigal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녀는 자신의 목표가 이 세계가 현재 가지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게임의 가상 세계의 문제들을 해결하는것 만큼 쉽게 만들어 보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물론 게임을 통해서 말입니다. 현재 세계적으로 매주 3,000,000,000(30억) 시간이 온라인 게임을 하는데 사용된다고 합니다. 매우 많은 시간들이 낭비되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녀는 자신의 연구에 의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오랜 시간동안 게임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래야지만 인류는 한세기 더 살아갈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아래의 사진을 사람들에게 보여줍니다.


이 사람의 표정은 매우 진지하고, 어딘가에 몰두 하고 있으며, 긴장감을 약간 동반하고 있지만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상태라고 합니다. 바로 게임에서 극적인 승리를 앞둔 상황의 사람의 표정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사람들은 게임을 통해서 집중해서 자기에게 주어진 문제를 풀면서 자신의 한계에 도전하며 그것을 즐기며 살아있음을 느끼고 성취감을 얻는다고 합니다. 이렇게 게임을 하듯이 현실적인 문제들을 집중하여 즐기면서 풀게 하여 사진속의 남자와 같은 표정을 짓는 사람들, 즉 문제를 해결하고 성취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왜 게임 속에서 처럼 현실의 문제들을 풀지 못할까요? 아니면 다른 말로 왜 현실 세계에서는 우리가 게임의 세계에서 처럼 살지 못하는 것일까요? 우선 온라인 게임에서는 현실 세계에서와는 달리 어떤 문제를 두고 해결하기 위해 신뢰를 바탕으로 뭉칠 수 있는 동반자 들이 어디에나 존재하기 때문이며, 그 문제는 사람들의 수준에 적절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 그 과정속에서 긍정적인 feedback(레벨업)을 받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런 요소들에 더해 사람들이 게임속에서 문제를 해결 했을 때 느끼는 성취감과 쾌감 때문에 사람들은 게임을 계속 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사람들은 World of Warcraft라는 온라인 게임에서 5,900,000(590만)년에 해당하는 시간을 소비 했다고 합니다. 590만년이라는 시간은 인류가 직립보행하기 시작해서 현재까지의 문명을 이룩하기 까지 걸린 시간이라고 합니다. 

또 미국에서 5학년부터 고등학교를 졸업할때 까지 학교에서 수업을 받는 시간이 10,000시간에 달한다고 하는데, 게임 문화가 발달된 나라에서는 평균적으로 사람이 21세가 되는 시점에 10,000시간의 게임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10,000이라는 숫자는 Malcolm Gladwell의 책 Outliers 라는 책에도 나오지만 의미있는 숫자입니다, 누구든지 성장기에 10,000시간 이상을 무엇인가에 투자하면 그것에 대한 전문가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온라인 게임에 대한 전문가들이 무엇을 잘하는지 살펴보고 그들의 능력을 활용해야 합니다. 그러면 온라인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무엇을 잘할까요? 첫번째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는 문제에 대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를 순간적으로 불러일으켜 몰입할 수 있는 능력. 두번째로, 같이 게임을 하는 사람들과 매우 사교적이다. 셋째로, 무엇인가 열심히 하고 집중하는것. 마지막으로, 자기가 하는 게임에 대한 의미 부여와 열정. 그래서 그들은 어떤 문제든지 해결할 수 있는 매우 유능한 개개인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데, 문제는 그들은 가상의 세계의 문제만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녀는 게임이 역사적으로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한 전설적인, 하지만 사실이라고 가정할 수 있는 근거들이 많은 이야기를 해주고, 자신은 게임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어떤 시도들을 하고 있는 알려줍니다. 그 이야기는 생략하겠습니다.


어떻게 보면 허무맹랑한 이야기. 하지만 어차피 게임 중독에 대한 문제를 쉽게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면 그것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꿀 수 없는지 발상을 전환해 보는 그 정신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동안에 게임을 교육에 활용하고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컴퓨터 대신 인간의 직감이 문제 해결에 더 큰 작용을 하는 문제들을 게임을 통해 사람들이 문제를 풀게 하는 시도들이 있었지만, 사람들이 구체적으로 온라인 게임에 왜 시간을 많이 소비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면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그 면을 어떻게 활용해볼지 연구한 내용은 새로운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이런 주제로 연구를 한다고 했다면 누가 연구비를 지원해 줄까요? 게임 회사들에서 이런 연구가 활성화 되도록 학계에 연구비를 대주면 참 좋겠지만, 게임 회사들은 어떻게 하면 자극적이고 중독성있는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 수 있는지만 고민하는것 같습니다.  여성 가족부에서라도 이런쪽의 연구에 예산을 많이 편성하면 좋으련만, 기껏 내놓는다는 정책이라고는 셧다운제라는 비현실적 정책이라는 것이 참 아쉽습니다.

그래도 저번 주에는 사회 정화작용이 있는 게임을 개발하고 싶다는 친구를 만나서 이야기를 나눠봤는데,  그런 젊은이들이 그나마 있어서 다행입니다. 


Posted by Dansoonie